대학에서 처음으로 코딩을 접한 윤준상 씨는 과제 준비마다 고민이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코딩에 오류가 있는지 검증해야 하는데,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 등장 이후 윤 씨는 부담을 덜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[윤준상 / 고려대학교 스마트모빌리티학부 : 챗GPT가 그 코드에서 조금 아쉬운 부분이라든지 오류가 날 만한 부분 아니면 조금 더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부분들을 이렇게 추천을 해주는 느낌으로….] <br /> <br />복잡한 개념을 쉽게 정리해야 하는 대학원생에게도 생성형 AI는 연구 활동에 유용합니다. <br /> <br />[이태우 / 고려대학교 바이오의공학과 : 공부할 때 챗GPT한테 물어보게 되면 개념들이나 원리 같은 것들에 대한 키워드들을 간략하게 정리해서….] <br /> <br />인터넷에서 일일이 찾아야 하는 정보를 빠른 시간내에 종합해 주는 편리함 덕에 여행 계획과 연애 조언까지 구하는 학생들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서염희 /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: 태국으로 여행을 갈 예정인데, 날씨가 어떻게 되는지 챗GPT로 물어본 적이 있어요. (좋아하는 사람의) MBTI를 챗GPT에 입력하고 그 MBTI 유형의 사람들과 어떻게 친해지고….] <br /> <br />지난해 생성형 AI 서비스 본격 등장 이후 학생들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1학기, 한 대학 교양 수업에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학생 286명을 설문한 결과, <br /> <br />도움이 만족스럽다고 답변한 비율은 절반이 넘고, 불만족스럽다는 반응은 10명 중 1명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생성형 AI가 주는 정보를 너무 믿어서는 안 된다는 우려도 여전합니다. <br /> <br />겉보기에는 그럴듯하지만, 자세히 살펴보면 틀린 결과를 내놓는 '할루시네이션' 현상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동학 농민 운동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챗GPT를 이용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동학 농민 운동의 발발 배경과 경과 그리고 결과에 대해 알려달라고 요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두 차례에 걸쳐 물어봤는데, 챗GPT는 일어난 연도와 중심이 된 인물, 배경에서 틀린 결과를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1월 수능 수학 영역 문제를 풀어달라고 했을 때도, 보기에 없는 엉뚱한 답을 내놓는 등 생성형 AI 오류가 화제가 되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결과를 의심하는 학생들은 많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의심스러운 부분만 사실 확인을 했다는 학생의 비율은 36.5%, 답변 전체에 대해 사실확인을 한 학생은 18.3%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학생들이 생성형 AI를 활용한다면 결과를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101815052017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